본문 바로가기

Life Story/2024 블록체인 누리단

[2024블록체인 누리단]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 구축 (씨씨미디어서비스)


블록체인 누리단
은 

블록체인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사전 교육에 참여하고, 실제 블록체인 서비스를 체험하면서
개선점을 제안SNS를 통한 누리단 활동을 홍보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합니다

 


 

24년 11월 27일 오후 진행한 블록체인 누리단 서비스 체험은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 구축을 준비중인 씨씨미디어서비스 입니다.

 

 

 

서비스 체험은 세종대학교에서  약 2시간 동안 진행 되었습니다.

 

 

시작에 앞서, 'CBDC' 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해주셨는데요,

 

CBDC란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자로,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전자화폐로 중앙은행내 지준예치금이나 결제성 예금과는 별도로 중앙 은행이 전자적 형태로 발행하는 새로운 화폐, 디지털 화폐를 말합니다.

즉, 디지털 화폐는 가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CBDC의 발급 주체는 '한국은행'입니다.)

 

 

사업개요를 살펴보면 '디지털 바우처 관리, 유통, 지원을 위한 통합 플랫폼 구현/검증'으로 적혀있는데,

이번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 의 메인 키워드는 '디지털 바우처'입니다.

(바우처란 어떠한 상태나 물건을 교환 할 수 있는 일종의 증서 입니다.)

 

다시말해,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란 중앙은행에서 만든 데이터 화폐를 가지고 바우처를 쓸 수 있는 플랫폼(서비스)을 의미합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디지털 금융서비스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제공하는 게 CBDC 사업의 핵심입니다.

 

 

현재 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 농협, 부산은행의 7곳의 은행이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은행은 내년 중 CBDC 기반 예금토큰을 발행하고, 이를 활용한 바우처(교육, 문화, 복지 분야 등)의 상용화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CBDC 도입으로 휴대전화 하나로 모든 바우처 결제가 가능해지며,

기존 긴급재난지원금과 같든 정부지원금 등을 사용 시 지역화폐 카드나 종이 상품권을 각각 들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습니다. (사후 검증 방식으로 부정수급 우려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예금토큰과 연결되면서 몇 달이 지나야 받을 수 있었던 사용분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예금토큰이 은행과 바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카드 수수료·자금조달 비용도 낮출 수 있습니다.

(CBDC 기반 예금토큰 시스템은 기존 PG사나 카드사를 거치지 않아도 정산이 가능합니다.)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  브로슈어 영문판

 


 

이상으로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 서비스 체험 후기를 마칩니다.

(서비스 체험은 직접 체험이 아닌, 담당자님의 서비스 시범 테스트 진행으로 따로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ㅜㅜ)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 구축을 통해 디지털 바우처를 더 편하게 사용하고, 부정수급을 방지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합니다.

 

 

 

p.s 관련 뉴스 기사가 있어 url을 첨부합니다.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결제 첫 공개…“앱 하나로 3초면 끝나”

한국은행이 내년 디지털화폐(CBDC) 실증 테스트를 앞두고 첫 결제 시연을 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앱) 내 QR 인증만으로 정부지원금과 같은 바우처 사용이 가능해진다. 한국은행은 27일 2024 블록

www.etnews.com

https://www.etnews.com/20241127000372